본문 바로가기
  • SDXL 1.0 + 한복 LoRA
  • SDXL 1.0 + 한복 LoRA
Study/라즈베리파이

Firmata 공부하기 #2 - Firmata는 왜 쓰는가?

by 마즈다 2021. 1. 26.
반응형

 

 

지난 시간 Firmata에 대해 포스팅한 후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주시고 또한 의문을 제기해주셨다.

그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다음의 두 가지였다.

 

  1.  왜 Firmata를 사용하는가?

  2. 왜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연동하여 사용하는가?

 

이런 질문을 받고 나니 확실히 어떤 목적으로, 어떤 이점이 있기에 Firmata를 사용하고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연동하려고 했는지 다시 한번 고민해보게 되었다. 아무리 작고 개인적인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역시나 대충, 어물쩡, 설렁설렁 하면 안되겠다고 새삼 깨달았다. 오늘은 위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으로 시작을 해보고자 한다.

 

왜 Firmata를 사용하는가?

 

어찌보면 이 질문의 답은 명확하다. 대략 세 가지 정도로 추려보자면

 

1. 검증받은 프로토콜의 사용

지난 시간에도 언급했듯이 디지털 기기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이라는 규약을 만들고 지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는 것이 그리 만만한 작업은 아니다. 때문에 이미

검증된 MIDI Message Format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구현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이점이 될 것이다.

 

2. 다양한 기기 및 언어 이용

프로토콜이 명확하게 정의되어있기 때문에 이 프로토콜 구현만 제대로 한다면 어떤 언어로든 아두이노를

제어할 수 있다. Firmata Protocol git 페이지에 가보면 다양한 언어로 구현된 Firmata 클라이언트

링크를 볼 수 있다. 또한 시리얼 통신만 가능하다면 PC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서도 아두이노를 제어할 수

있다.

 

3. 사용의 용이성

Firmata Client 프로그램들은 이 프로토콜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API가 잘 구현되어있다. 따라서

적절한 API를 가져다 쓰기만 한다면 웬만한 아두이노 컨트롤은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아두이노에는

Firmata 라이브러리만 올려두면 추가적인 프로그래밍이나 스케치 업로드등을 할 필요도 없어 오직 호스트

PC(혹은 모바일 기기)에서만 개발자에게 익숙한 클라이언트로 프로그래밍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Firmata는 아두이노를 활용하는데 많은 이점을 주는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다.

 

왜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연동하여 사용하는가?

 

이 질문은 사실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들었다. 라즈베리파이도 이미 충분한 수의 GPIO 핀이 있는데 굳이

아두이노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 연동, 시리얼 통신 등으로

검색을 해보면 많은 자료들이 검색되지만 정작 왜 연동을 하는지 그 목적에 대해 설명한 자료는 거의

없다. 그저 기술적인 호기심 때문만은 아닐텐데…

 

하지만 내 개인 프로젝트에 국한했을 때는 이러한 구성에 의문을 가질 수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또는

아두이노를 중심에 둔다면 이러한 구성이 충분히 합리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 원격 센서 제어

호스트에서 원격으로 어떤 센서로 측정된 값을 가져와 연산을 하여 처리한다고 했을 때 당연히 원격 센서는

아두이노를 사용하는 것이 가격적인 측면에서 합리적일 것이다. 라즈베리파이는 호스트로서 수신된 데이터를

연산하기만 하면 된다.

 

2. 하드웨어적인 차이

원격이 아닌 같은 모듈 내에서 사용을 하더라도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의 하드웨어적인 차이에 의해 함께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큰 차이라면 역시나 GPIO인데 아두이노에는 라즈베리파이에 없는

Analog PIN이 별도로 있으며, 작동 전압도 라즈베리파이가 3.3v 인 반면 아두이노의 경우 3.3v와 5v용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핀당 사용 가능한 전류도 라즈베리파이가 16mA인 반면 아두이노는 40mA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상 비록 라즈베리파이에 40여개의 GPIO가 있지만 아두이노를 연동해서 사용

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들은 간단하게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될 것이다.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GPIO pins is 3.3v with a maximum current draw of 16mA. This means that we can safely power one or two LEDs (Light Emitting Diodes) from a single GPIO pin, via a resistor. But for anything requiring more current, a DC motor for example, we will need to use external components to ensure that we do not damage the GPIO. 

-

출처 : https://www.tomshardware.com/reviews/raspberry-pi-gpio-pinout,6122.html

 

아두이노 우노의 사양

 

위의 내용을 감안해 본다면 분명히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를 연동하여 사용해야 하는 것이 더 유용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Firmata의 한계

 

하지만 100% 좋은 것이 어디 있으랴.

내 구미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해야 하는 경우라면 Firmata는 결코 답이 아니다. 사실 모든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가 다 동전의 양면이 아니던가? 쉽고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적용은 하지만 정작 중요하게 

커스터마이징해야 할 때 상당히 곤란한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나역시 PCA9685 PWM 서보모터 드라이버를 Firmata 상에서 사용하려고

했으나 이와 관련된 프로토콜은 정의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대안을 찾기 위해 열심히 소스 코드를 뜯어보고 

있다…ㅠ.ㅠ 해결책에 한걸음 다가갔나 싶으면 비트 연산들이 줄줄이 나와 java 프로그래밍을 위주로 해온

나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작업이다…ㅠ.ㅠ

 

이 부분은 글을 이어 나가면서 극복해보도록 하겠다. 

 

정리

 

원래 이번 포스팅부터 코드 분석을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위의 질문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분명

중요한 시사점이 있기 때문에 집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글을 정리하기 위해 적잖이

검색을 하고 자료를 찾아보았지만 위와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변은 찾기가 쉽지 않았다.

 

결국 몇몇 글들과 나름의 지식을 기반으로 글을 적기는 했지만 아직도 객관적인고 명확한 근거는 모자라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있다. 이 부분은 앞으로의 숙제가 될 것 같다.

 

이제 예정한대로 다음 포스팅 부터는 Firmata Client와 라이브러리 그리고 예제 코드를 통해 Firmata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