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93 [옛 글] [블로터] 한국에 스티브 잡스가 없는 이유 최초 작성일 : 2010/04/06 07:47 링크 : http://www.bloter.net/archives/28629 이전에 기사를 정리한 바가 있다.(참고 링크 : http://www.prapps.net/entry/아이뉴스24-정부-SW-마에스트로-육성한다?category=29) 중요한 것은 천재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항간에 떠도는 유머중에 아인슈타인, 뉴튼, 에디슨이 한국에 태어났을 때를가정한 이야기가 있다. 말인 즉, 아무리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라도 우리 나라에 태어나면그 재능이 모두 무시되고 사장되어버린다는 웃어넘기기에는 너무도 심각한내용이다. 정부가 하고자 하는 방법으로는 마에스트로의 씨앗을 찾아낼 수도 없을뿐더러설령 찾아낸다 해도 근본 환경이 바뀌지 않는 .. 2013. 7. 10. [옛 글] [블로터] ‘온라인 가판대’ 차린 아이패드…루퍼트 머독은 ‘반기’ 최초 작성일 : 2010/04/06 07:35 링크 : http://www.bloter.net/archives/28734 디바이스를 통한 애플의 영향력 확대는 참으로 놀랍고 신기하다.물론 그 디바이스 뒤에는 흔히 '생태계'라고 말하는 디바이스 + 마켙 + 콘텐츠의유기적인 연결이 존재하지만 말이다. 현대 사회에서 유통이 갖는 의미는 실로 엄청나기 때문에애플의 전략에 불안을 느끼는 미디어들의 심정이 이해가 간다. 하지만 현재 주도권을 쥐고 있는 곳은 애플이고 결국 애플의 뜻대로될 것 같다. 2013. 7. 10. [옛 글] [zdnet] 아이패드 출시 '국내 쇼핑몰 전문가 반응은?' 최초 작성일 : 2010/04/06 07:25 링크 : http://www.zdnet.co.kr/Contents/2010/04/05/zdnet20100405162835.htm 국내 사용자 환경을 감안하면 옳은 견해라고 판단됨. 별다른 의견 없음 2013. 7. 10. [옛 글] [zdnet] 국내 포털들, 아이패드에 일단 '관망모드' 최초 작성일 : 2010/04/06 07:20 링크 : http://www.zdnet.co.kr/Contents/2010/04/05/zdnet20100405165547.htm 출시 첫날의 판매량은 높은 수치의 기록을 남겼지만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는 의견이 부분하기 때문에 쉽게 대응하기 어려운 것이사실인 것 같다. 다만 아이패드가 아니라도 7~10인치대의 작은 화면 사이즈를 가진디바이스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에 최적화된 구성들을준비해둘 필요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3. 7. 10. [옛 글] [아이뉴스24] 아이패드, 넷북 시장 잠식할까 최초 작성일 : 2010/04/06 07:15 링크 : 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484578&g_menu=020200 물론 넷북이 아이패드보다 '생산'에 더 적합한 도구라는 점에는 이의가 없지만문제는 넷북이 '생산'에 아주 적합하다고는 할 수 없다는데 있다. 최근 키패드의 사이즈를 키우는 등 키보드 입력 편의성을 향상시킨 제품들이많이 나오고는 있지만 일단 작은 사이즈의 화면은 여러개의 창을 띄운다 해도오히려 화면만 복잡하게 할 뿐 원활한 멀티태스킹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결국 넷북은 '생산'이란 측면에서 보아도 아이패드에 비해 큰 우위를 점할수는없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넷북은 또다른 경쟁자와 싸움을 벌여야 한다.기존 넷북의 저성능과 .. 2013. 7. 10. [옛 글] [아이뉴스24] e북업계, 아이패드 출시 맞아 분주 최초 작성일 : 2010/04/06 06:59 링크 : 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484598&g_menu=020900 무협,판타지,로맨스만 가지고는 콘텐츠가 너무 부족하다.이것은 곧 시장이 협소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패드의 등장이 e-book 컨텐츠 시장의 커다란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어떻게 보여줄 것인지 보다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지가 더 중요한 것이이 e-book 시장인 것 같다. 보다 다양한 콘텐츠가 개발되어 소비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누릴 수 있게 된다면경제적인 시장의 확산과 더불어 지식과 정보의 확산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고정보 민주화의 중요한 단초가 될 것이다. 2013. 7. 10. [옛 글] [아이뉴스24] 아이패드, 출시 첫날 '탈옥' 굴욕...동영상까지 최초 작성일 : 2010/04/06 06:51 링크 : 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484620&g_menu=020600 어쩌면...아니 어쩌면이란 가정 없이 그냥 애플도 사용자도 이미 예측했던 결과아닐까? 해커와의 전쟁은 멈출수 없는 것이고 탈옥 자체가 불법은 아니라는 것이야이미 알려진 사실이고... 다만 탈옥으로 인한 불법 소프트웨어의 사용만은 지양 될 수 있으면 좋겠지... 2013. 7. 10. [옛 글] [IDG] 통신업계 연구개발비용 매년 축소 최초 작성일 : 2010/04/06 06:45 링크 :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sId=61345 작은 업체나 대기업이나그 생각의 근본에는 별 차이가 없는가보다. 거시적인 안목으로 좀 더 앞을 내다보는 정채보다는일단 현재의 안정과 유지를 위해 필요한 자금의 확보가 최우선의 가치로느껴지는 것 같다. 즉시적인 생산의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하는 R&D는 그저 계륵일 뿐이다.R&D에 열심히 투자를 한다고 해서 그 결과가 반드시 기업의 장미 빛 미래를가져다 준다는 보장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 돈을 마케팅이나 생산쪽으로 돌리면당장에 눈에 보이는 수익은 발생을 하고, 그러다보니 R&D는 그저 생색내기나 되고... 뭐 이러한 순환 구조를 .. 2013. 7. 10. [옛 글] [아이뉴스24] 아이패드, 돈 버는 콘텐츠 시장 만든다 최초 작성일 : 2010/04/06 06:37 링크 : 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484535&g_menu=020600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라는 말을 구분없이 두섞어 사용하여 좀 혼란스러운 면이 있다. 애플리케이션도 결국은 콘텐츠의 한 부류이므로 콘텐츠가 더 큰 범위의 개념이라고볼수 있을 것 같다. 어찌되었건 앱스토어에서 아이패드용 앱들의 유료 비율이 높은 것은당연할 수밖에 없다. 이미 아이폰을 통해 충분히 그 시장성을 검증한 기업이나개인 개발자들은 더이상 관망하거나 눈치를 볼 필요 없이 앱이 어느 정도 수준이면유료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미 파악하고 있을 것이고 그러한 상황에서미끼상품 이상의 무료 앱은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 것 뿐이다. .. 2013. 7. 10. 이전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33 다음 반응형